
|
![]() |
![]() |
부정기선이란 정해진 스케줄에 맞추어 정해진 지역을 반복 운항하는 현대의 컨테이너선과 반대의 의미로서, 화주가 선적 가능한 화물, 운항 가능한 항로, 그리고 적절한 운임만 제시한다면 선주는 선적항, 양하항의 위치와 관계없이 운송계약과 함께 운항하게 된다. 즉, 정기선 해운 시장과는 대조적으로 부정기선 해운시장은 주로 bulk cargo vessel을 항로와 화물, 배선에 구애 받지 않고 수송 수요에 따라 수시로 배선, 운항하는 해운시장을 말하며, 이는 유조선, 전용선, 살화물선, 겸용선 등으로 세분 할 수 있다.
|